"극한 호우는 지구온난화 때문"...KAIST 등 국제공동연구팀, 세계 첫 증명
상태바
"극한 호우는 지구온난화 때문"...KAIST 등 국제공동연구팀, 세계 첫 증명
  • 정 현 기자
  • 승인 2023.12.05 23: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KAIST 김형준 교수팀, 한미일 8개 기관 연구진과 공동 연구
- '지구 메타버스' 기술 활용...지난 60년간 증가한 동아시아 지역 극한호우 원인 규명
- 논문, SCI급 저명 국제학술지 ‘Science Advances’ 게재

[위즈뉴스] 국내 연구진이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해 동아시아지역의 극한 호우가 지구온난화 때문이었다는 사실을 최초로 증명했다.

KAIST(총장 이광형)는 5일, 문술미래전략대학원(건설및환경공학과, 녹색성장및지속가능대학원 겸임) 김형준 교수와 인문사회연구소 문수연 박사가 한·미·일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해 과거 60여 년간 관측된 동아시아 지역의 기상 전선에 의한 호우 강도의 증가가 인간 활동에 의한 기후변화의 영향이었음을 지구 메타버스 기술을 이용해 처음으로 증명했다고 밝혔다. 

김형준 교수(왼쪽)와 문수연 박사 / 사진=KAIST

이번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SCI급 저명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IF=13.6)' 11월 24일자에 게재됐다.

논문명은 'Anthropogenic warming induced intensification of summer monsoon frontal precipitation over East Asia'이며, 김형준 교수가 교신저자로, 문수연 박사가 제1저자로 참여했다.

"이번 연구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

연구팀의 김형준 교수는 "이번 연구는 동아시아에서 기상 전선에 의한 호우의 강도가 최근 반세기에 걸쳐 유의미하게 증가했음을 밝히고 그러한 변화에 이미 인류의 흔적이 뚜렷하게 남겨져 있음을 증명한다ˮ며 "이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되며 동시에 탄소중립을 성공적으로 달성하더라도 필연적으로 진행되는 가까운 미래의 기후변화에 대해 효율적으로 적응하기 위해 필수 불가결한 정보라고 할 수 있다ˮ고 말했다.

국제학술지 'Science Advances' 최신호에 게재된 해당 논문
DOI: 10.1126/sciadv.adh4195

여름 호우는 농업 및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치며 홍수나 산사태 등의 재해를 일으켜 지역의 생태계에도 영향을 주는 등 인간 사회 있어서 커다란 위협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여름 호우의 강도가 과거 몇십 년간 변화돼 온 사실은 세계 각지에서 보고됐다. 그러나 동아시아의 여름 호우는 태풍, 온대 저기압, 전선과 같은 다양한 프로세스에 기인하며, 여름 호우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전선이 야기하는 호우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 또한, 호우는 기후 시스템의 자연 변동 혹은 우연성에 의한 영향 또한 존재하기 때문에 인간 활동에 의한 온난화가 전선 유래의 호우 강도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고 있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KAIST와 동경대, 동경공업대, 전남대, GIST, 유타주립대 등 한·미·일 8개 기관으로 구성된 국제 공동연구팀은 동아시아의 기상 전선에 의한 호우 강도를 과거 약 60년간 관측 데이터로 확인한 결과 중국 남동부의 연안 영역부터 한반도 그리고 일본에 걸쳐 호우의 강도가 약 17% 증가한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변화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 인간 활동에 의한 온실가스의 배출이 있는 지구와 그렇지 않은 지구를 시뮬레이션한 '지구 메타버스' 실험을 이용해 온실가스 배출에 의해 호우 강도가 약 6% 강화됐으며, 발견된 변화가 인간 활동에 의한 온난화의 영향을 배제하고서는 설명할 수 없음을 보이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자료이미지=KAIST

[그림설명]
(좌) 관측에 의한 전선호우의 강도변화 (1958년∼1982년의 발생 빈도와 1991년∼2015년의 발생 빈도의 차이). (우) 지구 메타버스 실험을 이용해 분석한 인간활동에 의한 온난화가 전선호우의 강도에 주는 영향.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해외우수과학자유치사업(BP+)와 인류세연구센터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