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기술로 '하·폐수 속 미량물질' 쉽고 빠르게 포착
상태바
인공지능 기술로 '하·폐수 속 미량물질' 쉽고 빠르게 포착
  • 정 현 기자
  • 승인 2023.11.20 00: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KIST 홍석원 단장 연구팀, 미량물질 농도 예측 기술 개발
- 군집화 및 예측 기반 인공지능 기술로 하·폐수 속 유입물질 특성 예측
- 까다로운 분석절차 단축해 수처리 관련 시설에서 실제 활용 기대
- 논문, SCI급 국제학술지 'npj clean water' 게재

[위즈뉴스] 국내 연구진이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하·폐수 속 미량물질의 농도를 쉽고 빠르게 예측해 내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윤석진)은 17일, 물자원순환연구단 홍석원 단장과 손문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군집화-예측기반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신종 미량물질을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농도를 예측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왼쪽부터 홍석원 단장, 손문 선임연구원, 임승지 박사후연구원 / 사진=KIST

이번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SCI급 저명 국제학술지 '네이처 포트폴리오 저널 클린워터(npj Clean Water, IF=11.4)' 10월 28일자에 게재됐다.

논문명은 'Clustering micropollutants and estimating rate constants of sorption and biodegradation using machine learning approaches'이며, KIST 홍석원 책임연구원과 손문 선임연구원이 공동 교신저자로, KIST 임승지 박사후 연구원이 제1저자로 참여했다.

"미량물질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자료 제공 가능해질 것"

연구팀의 홍석원 박사와 손문 박사는 “실제 하폐수 처리장 뿐 아니라 신종 미량물질이 존재하는 대부분의 수처리 관련 시설에 적용할 수 있으며, 관련 규제를 위한 정책결정 과정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라면서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하기 때문에 관련 데이터가 축적될수록 예측 정확도도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연구에서는 총 44종의 미량/신종물질을 대상으로 했으나, 이를 확장하여 수십, 수백종의 미량/신종물질의 거동을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며 "이는 수질처리 시설의 운전을 최적화하거나 혹은 미량물질과 관련된 정책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

국제학술지 'npj clean water' 최신호에 게재된 해당 논문
https://doi.org/10.1038/s41545-023-00282-6 

전 세계 의약품 소비량은 2020년 기준으로 4조회 분량으로 매년 급증하는 추세다. 과거와 비교해 점점 더 다양한 의약품들이 인체의 대사 작용을 거쳐 하·폐수 처리장으로 유입되면서, 여기서 발견되는 미량물질의 양과 종류도 증가하고 있다.

하·폐수 속 미량물질이 다시 강과 바다 등으로 유입돼 상수원으로 활용되면 환경뿐 아니라 발암, 내분비계 장애 등 인간의 건강에도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미량물질의 그 특성과 거동을 신속, 정확하게 예측하는 기술이 필요지만, 알려지지 않은 미량물질을 분석하는 데는 고가의 장비와 숙련된 전문가가 필요하며 오랜 시간이 걸린다.

연구팀은 데이터의 유사성에 따라 지도의 형태로 군집화하는 자기조직화지도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의약화합물, 카페인 등 기존에 알려진 29종의 미량물질을 물리화학적 특성, 작용기, 생물학적 반응 기작 등의 정보에 따라 분류했다.

그 다음, 새로운 미량물질의 특성과 농도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데이터를 여러 하위 집합으로 분류하는 머신러닝 기술인 랜덤 포레스트를 추가로 구축했다.

만약 새로운 미량물질이 자기조직화지도 내의 어떤 군집에 속한다면, 해당 군집 내 다른 물질의 특성을 통해 새로운 미량물질의 특성과 농도가 어떻게 변화할지 예측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군집화-예측 인공지능 모델(자기조직화지도-랜덤포레스트)을 새로운 13종의 신종 미량물질에 적용한 결과, 생물학적 정보를 이용한 기존 인공지능을 활용한 기술의 예측정확도인 0.40을 훨씬 뛰어넘는 약 0.75의 우수한 예측정확도를 보였다. 예측정확도는 0.00에서 시작하여 1.00에 가까울수록 높다.

머신러닝 기술을 이용한 신종 미량물질 예측 기술 / 자료이미지=KIST

수식을 기반으로 하는 전통적인 예측 방법에 비해 연구팀의 데이터 기반 분석모델은 미량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만 입력하면 비슷한 데이터를 가진 물질과의 군집화를 통해 새로운 미량물질의 농도가 하수처리 과정에서 어떻게 변화할지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 모델 특성상 사회적인 관심사인 마약과 같은 신종물질의 농도 예측에도 향후 활용할 수 있다.

이번 연구는 환경부 상하수도혁신기술개발사업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세종과학펠로우십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