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 전기차 배터리 화재 예방 기술 개발
상태바
국내 연구진, 전기차 배터리 화재 예방 기술 개발
  • 정 현 기자
  • 승인 2023.10.18 11: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UNIST 송현곤 교수팀,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공동 연구 수행
- 울산 지역 3개 기관 공동 연구팀 참여, 불연성 고분자 반고체 전해질 개발
- 화재 억제 및 높은 리튬이온 전도도 확인
- 논문, SCI급 저명 국제학술지 'ACS Energy Letters' 게재 및 표지논문 선정

[위즈뉴스] 국내 연구진이 전기차 배터리 화재를 손쉽게 예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UNIST(총장 이용훈)는 17일, 에너지화학공학과 송현곤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정밀화학연구센터 정서현 박사 그리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울산차세대전지 연구개발센터 김태희 박사로 구성된  공동 연구팀이 배터리 내에서 분자 결합이 가능한 ‘불연성 고분자 반고체 전해질’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윗줄 왼쪽 2번째 송현곤 교수, 원형사진 김믿음 연구원, 아랫줄 오른쪽 첫번째정지홍 연구원 / 사진=UNIST

이 기술은 지하 주차장 등에서 발생하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화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연구 성과를 담은 논문은 에너지 분야의 SCI급 저명 국제학술지 'ACS 에너지 레터스(ACS Energy Letters, IF=22.0)' 10월 13일자 온라인에 게재됐으며, 표지 논문(supplementary cover)으로도 선정됐다.

논문명은 'Fire-Inhibiting Nonflammable Gel Polymer Electrolyte for Lithium-Ion Batteries'이며, UNIST 송현곤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정서현 박사,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김태희 박사가 공동 교신저자로, UNIST 김믿음 연구원과 정지홍 연구원이 공동 제1저자로 참여했다.

"추후 불연성 배터리의 상용화를 가속시킬 것"

공동 연구팀의 송현곤 교수는 “고분자를 활용한 불연성 반고체 전해질은 기존 배터리 조립 공정에도 바로 적용 가능해 추후 불연성 배터리의 상용화를 가속화시킬 것이다”고 말했다. 

국제학술지 'ACS Energy Letters' 최신호에 게재된 해당 논문
doi.org/10.1021/acsenergylett.3c01128

현재까지 불연성 전해질에는 과량의 난연 첨가제를 사용하거나 매우 높은 끓는점을 가진 용매를 사용했다. 이는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를 급격하게 감소시키는 등 여러 단점이 존재했다.

연구팀은 전해질에 미량의 고분자를 첨가해 ‘반고체 전해질’을 만들었다. 만들어진 고분자 반고체 전해질은 기존 액체 전해질 대비 33% 높은 리튬 이온 전도도(4.8 mS/cm)를 보였다.

이를 활용한 파우치형 배터리는 SEI 층이 형성돼 구동할 때 발생하는 전해질의 불필요한 반응을 막아 110% 향상된 수명 특성을 보였다.

우수한 전해질 성능과 동시에 불연성을 가지는 이유는 연소 과정 중 연료와 라디칼 연쇄 반응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라디칼은 하나의 전자를 가지는 원자 혹은 분자로 매우 불안정한 특성을 보인다.

연구팀은 라디칼을 안정화할 수 있는 수치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억제함으로써 개발한 고분자의 우수성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불연성 젤 전해질의 작동 원리 / 자료이미지=UNIST

논문의 공동 제1저자인 정지홍 UNIST 연구원은 “배터리 내에서 중합된 고분자와 휘발성 용매와의 상호작용을 활용해 라디칼 연쇄 반응을 억제할 수 있었다”며 “전기화학적 정량화를 통해 라디칼 억제 수치를 분석함으로써 불연성 전해질의 메커니즘을 밝히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공동 제1저자인 김믿음 UNIST 연구원은 “전해질의 불연성 평가에 그치지 않고 파우치형 전지에 적용하는 등 다양한 실험을 통해 배터리 자체의 우수한 안전성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로 국내 5건, 해외 2건의 특허를 출원했으며,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한국화학연구원과 삼성 SDI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