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독과점 '고내열 투명 플라스틱' 소재 기술, 국내 개발 성공
상태바
일본 독과점 '고내열 투명 플라스틱' 소재 기술, 국내 개발 성공
  • 정 현 기자
  • 승인 2021.07.29 22: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논문, 고분자 분야 국제학술지 'Macromolecules' 7월호 표지논문 게재

[위즈뉴스] 일본이 독과점해 오고 있는 고내열 투명 고분자 핵심소재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지난 2017년 7월 일본이 수출규제를 발표한 지 2년 만의 일이다. 

한국화학연구원(원장 이미혜)은 28일, 고기능고분자연구센터 김용석 박사와 박성민 박사 연구팀이 기존보다 늘어나는 성질이 2배 이상 향상된 환형올레핀 기반의 고내열 투명 고분자 소재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왼쪽부터 김은채 연구원, 박성민 선임연구원, 김용석 센터장 / 사진=한국화학연구원
왼쪽부터 김은채 연구원, 박성민 선임연구원, 김용석 센터장 / 사진=한국화학연구원

이번 연구성과를 담은 논문은 고분자 분야의 SCI급 국제학술지 '매크로몰레큘즈(Macromolecules, IF=5.918)' 7월호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논문명은 'Synthesis of Vinyl-Addition Polynorbornene Copolymers Bearing Pendant n-Alkyl Chains and Systematic Investigation of Their Properties'이며, 김용석 박사와 박성민 박사가 공동교신저자로 참여했다. 

한국화학연구원 이미혜 원장은 "이번 성과가 환형올레핀 고분자 개발의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소재에 대한 원천적인 이해도를 높여, 일본 소재에 대한 의존 극복을 줄이고 관련 소부장산업 경쟁력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국제학술지 'Macromolecules' 최근호에 실린 해당 논문
국제학술지 'Macromolecules' 최근호에 실린 해당 논문

환형올레핀 고분자 소재는 디스플레이, 5G 및 IoT 미래 정보전자재료의 핵심소재 중 하나로, 산업적 중요성과 다양한 응용 확장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상용화된 환형올레핀계 고분자 소재는 엄격한 기술보안 하에 일본기업에 의해 개발되었고, 국내 수요는 일본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자체적인 기술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었다.

이번 기술 개발로 소재 분야 관련 국내 기업과의 적극적인 협업을 통해 국내 개발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환형올레핀 고분자 소재는 노보넨 계열 단량체로부터로 제조되는 고분자 플라스틱의 일종이다. 다른 고분자소재 대비 수분을 덜 흡수하고, 유전율이 매우 낮아 디스플레이용 기판 및 5G 기판 등의 미래정보 전자 소재로도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계적 강도, 투명도와 내열성 등의 물성이 우수한 소재이다.

하지만 필름화 공정이 어렵고 신축성이 부족한 점은 환형올레핀 고분자 소재의 응용확대를 위해 극복해야 하는 문제점이다. 특히, 휘거나 접을 수 있는 정보·전자재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연신율 개선 기술이 필수적이다. 연신율이란 단방향으로 잡아당길 때 부러지지 않고 늘어날 수 있는 비율을 말한다. 

일본에서도 개발을 위해 공을 들이고 있는 핵심 기술이기도 하다.

이에 연구팀은 노보넨 계열 단량체에 새로운 촉매시스템을 적용하여 성공적으로 환형올레핀 고분자 소재를 중합했다.

환형올레핀 고분자에 포함된 단량체 함량에 따라 소재 가공온도에 영향을 주는 고분자 유리전이온도를 92℃ 부터 192℃ 까지 자유롭게 조절했다. 또한 용매에 녹이거나 가열하는 공정을 통해 손쉽게 필름을 제조할 수 있었다.

또, 연신율을 ’4%~245%‘ 범위까지 제어하여, 기존 대비 최고 2배 이상 늘어나는 물성을 확보하여 쉽게 부러지는 종래의 노보넨계 환형올레핀 고분자 소재의 단점을 극복했다. 이는 포항가속기연구소의 광각 X-선 산란 (WAXS) 분석을 통해 연신율 증가를 구조적으로 규명한 것이다.

연구팀은 "일본기업이 독과점을 형성하고 있는 환형올레핀고분자의 글로벌 시장은 1조원 이상의 가치로 추정되며 연평균 3% 이상 성장률을 가져 2025년 시장규모 1조 2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며 "국내소재 개발을 통해 일본기업의 독과점을 해소하여 형성되어 있는 대규모 시장에 침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화학연 주요사업 지원으로 수행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