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근경색 예방위해 담배 끊는 게 가장 중요”...정년퇴임 앞둔 전남대 정명호 교수
상태바
“심근경색 예방위해 담배 끊는 게 가장 중요”...정년퇴임 앞둔 전남대 정명호 교수
  • 박정원 기자
  • 승인 2024.02.29 00: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전남대병원 순환기내과 정명호 교수 인터뷰
- 하루에 외래환자 250여명…지금까지 37년간 1만 2,000여명 진료
- 스텐트 개발 위해 현재까지 돼지 3,718마리 실험해 ‘돼지아빠’ 별명
- 퇴직 후 광주보훈병원에서 연구와 진료 이어가
정년퇴임 앞둔 전남대병원 정명호 교수 / 사진=전남대병원

[위즈뉴스] 정년퇴임이 며칠 남지 않은 전남대병원 순환기내과 정명호 교수는 여전히 새벽 5시 30분에 출근한다.

6시 30분에 병동과 중환자실, 응급실을 돌며 회진 한 후 7시 30분부터 외래진료나 시술 등을 시작한다. 토요일에는 스텐트 개발을 위한 동물실험을 한다. 일요일에는 평일보다 1시간 늦게 나와 연구를 지속한다. 이 일상은 전남대병원에 임용된 지난 1987년 이후 단 하루도 빠지지 않고 37년 째 진행 중이다.

정 교수의 전남대병원 교수직은 29일이 마지막이지만 37년간 이어져온 일상은 광주보훈병원에서 지속된다. 퇴임 다음 날인 3월 4일부터 곧바로 광주보훈병원 순환기내과에서 진료를 시작하기 때문이다. 

“퇴임하면 연봉의 10배를 준다며 오라는 병원이 많았지만 전남대병원보다 월급이 적은 보훈병원을 선택했다. 그 이유는 국립병원 등에서 꾸준한 연구와 진료를 통해 한국인심근경색증등록연구 및 스텐트 개발 등을 평생 지속하고 싶기 때문이다.”

심근경색증과 관상동맥 분야를 진료하는 정 교수는 하루에 외래환자 250여명을 보는 등 지금까지 진료한 외래환자가 1만 2,000여명에 달한다. 시술은 매년 3,000~4,000여건 진행한다. 서울을 포함해 전국적으로 정 교수만큼 진료 및 시술을 많이 하는 교수는 드물다. 하지만 정 교수가 진료를 시작했던 1987년에는 심근경색증 환자가 거의 없었다. 심장판막 환자가 많았기 때문에 진료 또한 주로 혼자 볼 수밖에 없었다. 

정 교수는 “한국인이 갈수록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비만, 당뇨병, 고혈압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심근경색증이 증가할 거란 확신이 있었다”며 “결국 환자수도 폭증했으며 시술 건수 또한 엄청나게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심근경색 환자는 지난 2016년 9만5249명에 불과했지만 2020년엔 12만2231명으로 늘어났다. 정 교수의 시술 건수 또한 1993년 수백건에 불과하던 수치가 2006년엔 4000여건에 달했다. 30여년간 한국인의 심근경색증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셈이다.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흡연은 심근경색의 4대 위험인자다.

정 교수는 특히 담배를 끊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심장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혈관인 관상동맥에 콜레스테롤이 쌓이는 등의 이유로 피가 심장에 잘 공급되지 않으면 심장근육에 경색이 온다. 이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좁아지거나 막힌 혈관에 스텐트를 넣어 확장시키고 약물 치료를 통해 다시 좁아지지 않게 한다. 

정 교수가 주로 하는 심근경색증 시술인 관상동맥중재술은 좁아지거나 막힌 혈관을 스텐트를 넣어 확장시키며, 이후 약물 치료를 통해 다시 혈관이 좁아지지 않게 한다. 

정 교수는 “스텐트를 국산화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개발한 이후에는 혈전이 안 생기고 심근경색이 재발하지 않는 스텐트를 개발하는 데 성공, 미국 특허까지 등록했다”며 “의사가 스텐트를 만들게 되면 업체들이 개발한 것보다 더 우수한 스텐트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정 교수가 받은 스텐트 관련 특허는 총 84개. 이 중 실용화한 제품은 ‘타이거 스텐트’와 ‘타이거 레볼루션 스텐트’ 두 가지다. ‘타이거 스텐트’는 스텐트 국산화 노력의 산물로 지금까지 126례를 시술했고, ‘타이거 레볼루션 스텐트’는 혈전이 안생기는 등 부작용을 줄인 신개념 스텐트로 20명에 대한 임상 사용 실험이 끝나 추후 절차를 통해 식약처 사용 승인을 얻어내면 환자 치료에 도입할 수 있다.

정 교수는 급성심근경색증 분야에서 세계에서 가장 많은 논문(425편)을 발표했고, 지난 2006년에는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이 됐다. 지역의 의과대학 교수가 과학기술한림원 회원이 된 건 정 교수가 최초다. 

정 교수는 스텐트 개발을 위해 인간의 심장과 가장 비슷한 돼지로 동물실험을 하고 있다. 지난 1996년 미국 메이요 클리닉 연수에서 복귀한 후 국내최초로 돼지 심장을 이용해 지금까지 3718마리의 동물 심도자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정 교수는 지난 2005년부터 한국인 심근경색증등록연구(KAMIR)를 시작해 현재까지 8만3000여명의 환자를 등록했고, 논문 422편(SCI 387편)을 미국의학협회지(JAMA), 영국 의학전문지(Lancet), 영국의학저널(BMJ) 등에 발표하는 등 심근경색증 분야 연구 중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업적을 이뤄내고 있다. 논문 또한 1920편과 96권의 저서를 발표, 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업적을 남기고 있다.

정 교수는 “인생 목표가 국립심혈관센터 설립과 노벨과학상을 배출하는 것이었는데 그래도 하나의 목표는 이뤄냈다”며 “앞으로 남은 인생도 꾸준한 연구와 진료활동 및 특허개발로 우리나라 첫 노벨과학상 수상자 배출을 위해 끊임없이 정진하고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