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병 원인치료, 인공지능으로 실마리 찾았다
상태바
조현병 원인치료, 인공지능으로 실마리 찾았다
  • 정 현 기자
  • 승인 2023.10.09 17: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KAIST 이도헌 교수팀, 한국한의학연구원, 미국 스탠리연구소 등 국제공동 수행
- 인공지능 이용한 조현병의 선천적 병리 모델 밝혀내
- 연구팀 "증상 억제만 가능했던 조현병의 원인치료를 향한 실마리 될 것"
- 논문, SCI급 국제학술지 'Briefings in Functional Genomics' 게재

[위즈뉴스] 국내 연구진이 인공지능을 활용해 그동안 증상 억제만이 가능했던 조현병의 원인을 치료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았다. 

KAIST(총장 이광형)는 지난달 27일, 바이오및뇌공학과 이도헌 교수 연구팀과 한국한의학연구원(원장 이진용) 연구팀으로 구성된 공동연구팀이 미국 스탠리 의과학연구소(이하 스탠리연구소)와의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해 인공지능으로 개인의 유전형과 조현병 사이의 선천적 병리 모델 뿐만 아니라 조현병의 예측 마커를 발굴했다고 밝혔다.

왼쪽부터 KAIST 이도헌 교수, 한국한의학연구원 조유상 선임연구원 / 사진=KAIST

정신분열증으로도 알려진 조현병은 환청, 환영, 인지장애 등의 증상으로 대표되는 정신질환이다.

이번 연구성과를 담은 논문은 영국 옥스퍼드대에서 발간하는 SCI급 국제학술지 `기능유전체학 브리핑(Briefings in Functional Genomics, IF=4.0)' 9월호에 게재됐다.

논문명은 'Interpretation of SNP combination effects on schizophrenia etiology based on stepwise deep learning with multi-precision data'이며, KAIST 이도헌 교수와  스탠리연구소의 김상현 박사가 공동 교신저자로, 한국한의학연구원 조유상 선임연구원이 제1저자로 참여했다. 

"바이오의료 분야는 속내 해석이 가능한 인공지능이 꼭 필요"

공동연구팀의 이도헌 교수는 "바이오의료 분야는 `속내를 알 수 없는 인공지능'보다는 `속내 해석이 가능한 인공지능'이 꼭 필요한 분야"라면서 “기존의 인공지능과 비교했을 때 이번 연구에서는 인공신경망의 중간 노드에 유전자 이름, 세포의 상태와 같은 구체적인 생물학적 의미가 부여된 노드를 배치하고 그들 간의 연결관계를 기계학습기법으로 분석했다”고 말했다.

국제학술지 'Briefings in Functional Genomics' 최신호에 게재된 해당 논문
https://doi.org/10.1093/bfgp/elad041

조현병은 2016년 강남역 살인사건, 2019년 진주 방화사건, 2023년 대전 칼부림 사건 등 일부 환자들의 강력범죄와 환자에 대한 사회적 낙인으로 인해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조현병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아, 리스페리돈(risperidone), 클로자핀(clozapine) 등 항정신병제에 의한 증상의 억제만이 가능한 실정이다.

공동연구팀은 미국 스탠리연구소의 다수준 뇌 조직 데이터에 최근 주목받는 인공지능 기술인 `설명가능한 심층학습' 기술을 접목해, 선천적 유전형과 조현병 사이의 병리를 설명하는 인공신경망 모델을 구축했다.

그리고 모델을 해석하여, 선천적 유전형이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 조절을 통해 뇌의 전전두엽피질, 안와전두엽피질 신경세포의 발생을 변화시켜 조현병 취약성을 결정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한, 뇌의 신경세포 밀도를 감소시키는 유전형 조합을 조현병 예측 마커로 제시해, 개인화된 조현병 예측과 세포 치료 등을 통한 조현병 원인치료의 가능성을 열었다.

이번 연구로 밝혀낸 조현병 예측 마커와 조현병을 유발하는 원리 / 자료이미지=KAIS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