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광고가 기억에 더 남는 '뇌과학적 이유' 밝혔다
상태바
중간광고가 기억에 더 남는 '뇌과학적 이유' 밝혔다
  • 정 현 기자
  • 승인 2023.08.22 15: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UNIST 김성필 교수팀과 조지아대 김주영 교수, 공동 연구 수행
- 인지정서적 반응이 광고 기억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부정적 감정을 촉매로 광고 효과 더 높여
- 논문, SCI급 국제학술지 'Journal of Advertising' 게재

[위즈뉴스] 중간광고에 의해 생기는 부정적 감정이 광고를 기억하는 데 미치는 영향을 국내 연구진이 밝혀냈다. 

UNIST(총장 이용훈)는 16일,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김성필 교수 연구팀이 뇌파(EEG) 분석을 통해 소비자가 동영상 광고를 시청하는 동안 광고 정보를 기억하고 정서적으로 반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뇌파를 측정해, 컨텐츠의 흐름을 끊는 중간광고가 시청자의 부정적 감정을 야기하지만 광고의 본질이나 삽입된 영상 컨텐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김성필 교수(왼쪽)와 이승지 연구원 / 사진=UNIST

이번 연구에는 조지아대(University of Georgia) 김주영 교수가 공동연구자로 참여했으며, 연구결과는 광고 효과와 수익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광고학 분야의 SCI급 국제학술지 'Journal of Advertising(IF=5.7)' 7월 20일 자 온라인에 게재됐다. 

논문명은 'The Effects of In-stream Video Advertising on Ad Information Encoding: A Neurophysiological Study'이며, 김성필 교수가 교신저자로, 이승지 연구원이 제1저자로 참여했다.

"무분별한 중간광고 사용 규제와 정책 마련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 

연구팀의 이승지 연구원은 “이번 연구결과는 기업이 수익 창출하는데 중요한 요소인 광고의 효과와 수익을 증대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무분별한 중간광고 사용에 대한 규제와 정책 마련의 근거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제학술지 'Journal of Advertising' 최근호에 게재된 해당 논문
https://doi.org/10.1080/00913367.2023.2222782

연구팀은 중간광고가 삽입된 영상 컨텐츠를 보는 그룹(실험군)과 영상 컨텐츠 전후로 광고를 보는 그룹(대조군)을 비교했다.

대조군의 경우 영상을 보는 동안 흐름이 끊기지 않아 상향식 주의(bottom-up attention)에 의해 기억이 형성됐다. 시청자가 관심 있는 모델, 상품이 나오면 자연스럽게 기억에 남는 현상이다.

반면 실험군의 경우 대조군과 같이 상향식 주의에 의해 기억이 형성됐으나 부정적 감정 또한 기억의 요인으로 작용했다. 실험군이 기억하는 광고 개수가 대조군보다 많았고, 이는 ‘부정적 감정’이 기억 형성의 촉매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김성필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는 “이번 실험을 통해 확인한 실험군의 부정적 감정이 광고 자체에는 전이되지는 않아, 광고 속 상품에 대한 구매 욕구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고 전했다. 

연구팀은 광고에 의한 영상 컨텐츠 흥미도를 측정한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음을 밝혀냈다. 

즉, 이번 연구를 통해 컨텐츠의 흐름을 끊는 중간광고가 시청자의 부정적 감정을 야기하지만, 광고의 본질이나 삽입된 영상 컨텐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했다. 대신 부정적 감정과 함께 기억되는 중간광고가 영상 전후로 송출되는 광고보다 더 뇌리에 박혀 광고 효과를 높인다는 것이다.

실험 자극물 구성과 인지정서반응 관련 뇌 영역 / 자료이미지=UNIST

이번 연구에 공동으로 참여한 조지아대(University of Georgia) 김주영 교수는 “유튜브 또는 넷플릭스(Netflix's Standard With Ads)와 같은 스트리밍 비디오 콘텐츠 사업자들이 전후 또는 중간광고의 순서 및 위치에 따른 광고비 책정을 보다 과학적으로 할 수 있게 되었다는 데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며 “이번 연구는 시청자들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는 광고 타이밍을 회피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시청자의 유익을 높이는 효과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원하는 고려대학교 스마트미디어연구센터 및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초융합AI원천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수행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