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연구팀, 범용형 인플루엔자 나노 백신 개발
상태바
KAIST 연구팀, 범용형 인플루엔자 나노 백신 개발
  • 정 현 기자
  • 승인 2021.06.29 20: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논문, 국제학술지 'ACS Nano' 6월 11일자 온라인판 게재

[헬쓰in논문] 범용형 인플루엔자 나노 백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KAIST(총장 이광형)는 29일, 생명과학과 전상용 교수와 송지준 교수 연구팀이 인플루엔자(독감)와 같은 감염성 질병의 효과적인 예방을 위한 자기조립 단백질 기반 나노구조체 백신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왼쪽부터 전상용 교수, 김유진 박사, 강석모 박사 / 사진=KAIST
왼쪽부터 전상용 교수, 김유진 박사, 강석모 박사 / 사진=KAIST

연구팀은 인수공통 감염을 일으키는 브루셀라 세균의 외막 단백질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 전달체로 활용해 인플루엔자에 대항하는 새로운 백신 플랫폼을 개발했으며, 바이러스 항원-특이적인 체액성 면역 반응(항체 생성)을 유도해 여러 종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해 감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음을 보였다. 

이번 연구 성과를 담은 논문은 미국화학회의 나노분야 저명 국제학술지 'ACS 나노(ACS Nano, IF=14.588)' 6월 11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논문명은 'Antigen-Presenting, Self-Assembled Protein Nanobarrels as an Adjuvant-Free Vaccine Platform against Influenza Virus'이며, KAIST 전상용 교수와 송지준 교수가 공동교신저자로, KAIST 강석모 박사와 김유진 박사가 공동제1저자로 참여했다. 

연구팀의 전상용 교수는 "세균 유래 단백질 나노구조체 기반 범용성 인플루엔자 백신을 최초로 개발했다ˮ며 "인플루엔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감염성 병원체 감염에 대응할 수 있는 다목적 백신 플랫폼으로써 사용을 기대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범유행에 대항하기 위한 새로운 백신 후보군을 개발하는 후속 연구를 수행 중"이라고 말했다.

국제학술지 'ACS Nano' 최근호에 게재된 해당 논문
국제학술지 'ACS Nano' 최근호에 게재된 해당 논문

자연에 존재하는 몇몇 단백질 기반 나노구조체들은 바이러스 유사 입자(Virus Like Particle)를 모방해 백신용 항원 전달체로 활용할 수 있으나 항원에 대한 면역원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면역증강제(보조제)를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 데 문제는 종종 면역증강제에 의한 부작용이 발생한다.

연구팀은 위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자체 면역원성 및 면역 증강 효과를 가지는 브루셀라 병원균의 외막 단백질 BP26 기반 `술통' 모양의 나노구조체에 기반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을 새롭게 개발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이미 백신이 개발됐음에도 불구하고, 바이러스의 높은 변이율로 인한 백신 불일치로 인해 여전히 계절성 인플루엔자가 매년 유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백신을 매년 새로 예측하고 생산 및 접종해야 하는 복잡한 과정이 따른다.

연구팀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부터 광범위한 보호 면역을 유도할 수 있는 범용 인플루엔자 나노 백신을 개발했다.

범용성 인플루엔자 나노 백신 모식도 / 자료이미지=KAIST
범용성 인플루엔자 나노 백신 모식도 / 자료이미지=KAIST

연구팀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아형에 상관없이 서열이 유사하게 보존돼 있어 범용성을 가지나 낮은 면역원성으로 인해 단독 사용이 제한돼온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항원 M2e와 BP26 단백질의 융합을 진행했고, 단량체들의 자기조립을 통해 형성된 단백질 나노구조체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새로운 백신 플랫폼으로 활용했다. 

술통 모양 나노구조체 백신은 면역증강제 사용 여부에 상관없이 M2e 항원 단백질 대비 훨씬 더 강력한 M2e 항원에 대한 특이적인 체액성 면역 반응을 유도했으며, 동물을 다양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리더 연구(정밀 바이오-나노메디신 연구단)사업 및 KAIST Grand Challege 30 Project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