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와우 감염 부작용, 외부장치 자석 세기에 달렸다"
상태바
"인공와우 감염 부작용, 외부장치 자석 세기에 달렸다"
  • 정 현 기자
  • 승인 2024.05.31 00: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분당서울대병원 최병윤 교수,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박성민 교수, 공동연구
- 인공와우 감염 부작용, 외부 장치의 자석 세기에 달려
- 감염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어음처리기의 자석 세기 제시
- 논문, SCI급 국제학술지 'Acta Oto-Laryngologica' 게재

[위즈뉴스] 국내 연구진이 인공와우 감염 부작용이 외부 장치의 자석 세기에 달려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분당서울대병원은 29일, 이비인후과 최병윤 교수 연구팀이 인공와우 수술 후 감염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외부장치 자석의 세기를 제시하고, 내이의 기형 여부를 고려해 외부장치를 선택해야 한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고 밝혔다.

최병윤 교수(왼쪽)와 박성민 교수 / 사진=분당서울대병원

이번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이비인후과 분야의 SCI급 국제학술지 ‘국제 이비인후과 저널(Acta Oto-Laryngologica, IF=1.4)’ 최근호에 게재됐다.

논문명은 'Selection of speech processor in cochlear implant patients: experience in a tertiary hospital'이며, 분당서울대병원 최병윤 교수가 교신저자로,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이비인후과 박성민 교수가 제1저자로 참여했다.

"수술 부위 두피 감염에 의한 재수술은 자석 세기와 관계 있어"

연구팀의 최병윤 교수는 “심한 내이기형 환자들은 일체형보다 귀걸이형 어음처리기를 많이 사용한다”면서 “수술 부위 두피 감염에 의한 재수술은 어음처리기의 종류에 상관없이 자석 세기와 관계가 있었으며 2세 미만의 환자에서는 자석강도가 1.5 이상인 제품을 사용하는 것은 지양할 것을 권고한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인공와우 수술을 1200례 이상 시행해 온 세계적인 이비인후과 권위자이자 청각재활 전문가로 알려져있다.

국제학술지 'Acta Oto-Laryngologica' 최근호에 게재된 해당 논문
doi.org/10.1080/00016489.2024.2318762

인공와우 수술은 보청기를 사용해도 도움을 받지 못하는 고도 이상의 난청 환자에게 시행한다. 내이에 위치한 달팽이관에 전극을 심어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원리이다.

피부 밑에 심는 내부 장치와 외부장치인 ‘어음(語音, 말하는 소리)처리기’로 구성되며 서로 자석의 힘으로 부착된다. 수술 후 외부 소리가 어음처리기를 통해 내부 장치에 전달되고, 전달된 소리는 전기 신호로 바뀌어 청각 신경을 거쳐 뇌에 도달한다. 

어음처리기 종류는 귀걸이형(BTE,behind-the-ear)과 일체형(OTE,off-the-ear)이 있다. 일체형은 귀걸이형보다 미용적인 면에서 우수하며, 신형 일체형의 경우 이중마이크로폰을 이용하기 때문에 어음 이해 측면에서 귀걸이형과 차이가 없다고 알려져 있다. 

인공와우 수술 개념도 / 자료이미지=분당서울대병원 홈페이지

인공와우 수술 후 감염 부작용은 5% 미만에서 발생하며 수술 부위의 경미한 감염부터 뇌수막염까지 다양하다.

내부 장치와 어음처리기가 자석의 힘으로 부착되는 인공와우의 특성으로 인해 자석 부분에 압박성 궤양이 나타난다는 보고가 있었으나 자석 강도에 대한 자세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연구팀은 환자 특성에 따른 어음처리기 사용 현황을 비교 분석해 어음처리기 선택 시 고려할 사항을 도출하고, 귀걸이형과 일체형 어음처리기 각각의 자석 세기와 수술 부위 감염 부작용과의 관계를 조사하는 후향적 연구를 실시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2021년 1월부터 2023년 2월까지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인공와우 수술을 받은 환자의 452개 데이터를 사용했다. 데이터 가운데 160개는 양쪽 귀에 동시에 인공와우 수술을 받은 경우다. 성인의 귀는 242개, 소아의 귀는 210개이며 소아 환자 가운데 48명은 내이의 기형이 심했다. 

이들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일체형보다 귀걸이형을 많이 사용했고 일체형 사용 비율은 소아보다 성인에서 더 높았다. 내이의 기형이 심한 환자는 일체형보다 귀걸이형을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는 것을 확인했다. 내이 기형이 심하면 전기자극을 주기 위해 더 많은 전류가 필요해 배터리를 빨리 소모한다. 따라서 배터리 충전의 문제 때문에 귀걸이형을 선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어음처리기 부착에 사용되는 자석강도(M)는 일체형이 귀걸이형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2세 이하의 소아 환자 가운데 수술 부위의 두피 감염으로 재수술을 시행한 그룹의 자석 강도는 1.39±0.57로 재수술이 필요 없는 환자군 1.00±0.55에 비해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12개월 미만의 소아 환자에서도 결과는 같았다.

재수술을 시행한 그룹의 자석강도가 1.46±0.60로 재수술이 필요 없던 환자군 1.09±0.60에 비해 어음처리기의 종류와 상관없이 자석의 세기가 유의하게 높음을 확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