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위암 수술 시 '위 절제' 줄이는 림프절 전이 예측 척도 개발
상태바
서울아산병원, 위암 수술 시 '위 절제' 줄이는 림프절 전이 예측 척도 개발
  • 정 현 기자
  • 승인 2022.06.01 21: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논문, 대한위암함회 발행 국제학술지 'Journal of Gastric Cancer' 최근호 게재

[헬쓰in논문] 조기 위암은 비교적 간편한 내시경 시술로 치료가 가능한 경우도 있지만, 림프절 전이 가능성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내시경 시술 대상에 해당되지 않아 수술로 위를 절제한다.

그런데 문제는 림프절 전이 여부는 수술 후에나 알 수 있어서, 수술 시 위의 절제 범위를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이런 가운데, 최근 국내 연구진이 수술 전에 림프절 전이 가능성을 미리 계산해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서울아산병원은 지난달 30일, 소화기내과 안지용 교수와 위장관외과 이인섭 교수로 구성된 연구팀이 위 상부에 생긴 조기 위암으로 위 전절제술을 받은 환자 1천여 명을 분석해 암 진행 상태에 따라 16개의 경우의 수로 나눠 림프절 전이 가능성을 예측하는 척도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안지용 교수(왼쪽)과 이인섭 교수 / 사진=서울아산병원 

이번 연구를 계기로, 암 전이 가능성과 환자의 삶의 질을 복합적으로 따져 내시경 시술을 먼저 시도하거나, 위 절제술 대신 암이 생긴 위의 일부분만 절제하는 위 보존 수술로 조기 위암을 치료하는 경우가 더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 성과를 담은 논문은 대한위암학회가 발행하는 SCI급 국제학술지 'Journal of Gastric Cancer(IF=3.72)' 최근호에 게재됐다.

논문명은 'Scoring Model Based on Nodal Metastasis Prediction Suggesting an Alternative Treatment to Total Gastrectomy in Proximal Early Gastric Cancer이며, 소화기내과 안지용 교수와 위장관외과 이인섭 교수가 공동교신저자로, 소화기내과 노진희 교수가 제1저자로 참여했다.

연구팀의 안지용 교수는 “각 경우별로 림프절 전이 가능성에 따라 어떤 치료가 효과적일지에 대해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기 때문에 표준 치료 지침이 세워진 것은 아니지만, 앞으로 환자의 연령, 전신 건강 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내시경 시술을 먼저 고려해보는 경우가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연구팀의 이인섭 교수는 “위암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연령대가 60대인데 현재 우리 사회도 초고령화 시대를 앞두고 있고 이로 인한 기저 질환 환자도 늘어나는 만큼, 수술을 해야 하는 조기 위암이라도 전이 가능성 예측 척도를 이용해 위 보존 수술을 시행하는 등 환자의 삶의 질을 최대한 고려하며 치료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한위암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Journal of Gastric Cancer' 최근호에 게재된 해당 논문

조기 위암이 위 상부에 생기면 먼저 내시경 시술이 가능할지 판단하는데, 암이 깊게 침투해 내시경 시술로 치료가 어려운 경우 재발 위험 때문에 위 전체를 절제하는 수술을 한다.

이 때 덤핑증후군이나 빈혈, 영양소 결핍, 체중 감소 등 불가피하게 발생할 수 있는 위절제 후 증후군 때문에 삶의 질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 덤핑증후군은 위 절제술 후 음식물이 정상적인 소화 과정을 거치지 못하고 급격히 소장으로 유입되면서 발생하는 식후 어지러움, 빈맥, 복통, 구토 등 증상이다.

하지만 연구팀이 만든 조기 위암 림프절 전이 가능성 예측 척도를 통해 최대한 먼저 내시경 시술을 시도해보고, 내시경으로 암을 잘라내기 쉽지 않아 수술을 하더라도 국소적으로 암이 있는 부분만 도려내는 위 보존 수술을 더 쉽게 고려해볼 수 있게 됐다.

연구팀은 2001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위 상부에 생긴 조기 위암으로 위 전절제술을 받은 1,025명의 환자들을 분석했다.

925명(약 90.2%)은 림프절 전이가 없었으며, 100명(약 9.8%)은 림프절로 암이 전이됐다. 두 집단 간 가족력 차이는 없었다.

연구팀은 통계적 분석을 통해 종양 크기 및 깊이, 림프절로 연결되는 림프혈관 및 신경 침범 여부에 따라 조기 위암 림프절 전이 예측 척도를 만들었다.

종양 크기는 2cm를 기준으로 구분했으며 깊이는 점막층이나 점막하층 상부까지 암이 침범했는 지 혹은 더 깊은 지에 따라 구분해, 조기 위암을 총 16가지의 경우의 수로 나눴다.

예를들어 종양 크기가 216가지 경우의 수마다 림프절 전이 가능성이 통계적으로 각기 다르게 예측됐다. 2cm 이하이고 점막하층 상부까지 침범했으며 림프혈관 및 주변 신경 침범이 없다면 림프절 전이 가능성은 1.3%였다. 하지만 종양 크기가 2cm 초과이고 점막하층 하부까지 침범했으며 림프혈관 및 주변 신경 침범이 있으면 림프절 전이 가능성은 약 75%였다.

연구팀이 데이터 검정을 위해 조기 위암 림프절 전이 예측 척도의 유효성을 통계적으로 평가한 결과 83%의 정확도를 보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