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 발생 시, 정부기관보다 개인과 시민단체 정보 더 믿는다' 성균관대 SSK위험커뮤니케이션연구단 조사
상태바
'위험 발생 시, 정부기관보다 개인과 시민단체 정보 더 믿는다' 성균관대 SSK위험커뮤니케이션연구단 조사
  • 정 현 기자
  • 승인 2017.03.07 22: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성균관대 SSK위험커뮤니케이션연구단, 전국 만 20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 대상 조사
위험 정보 전달 주체의 신뢰도 평가 / 자료=성균관대 SSK위험커뮤니케이션연구단

[위즈뉴스] '위험 발생 시, 개인과 시민단체 정보 더 믿는다'

최근 우리 사회는 경주 지진과 조류독감, 미세먼지 등 다양한 위험을 경험하고 있다.

잠재적인 위험 또는 위험이 발생했을 때 정확한 정보가 대응 및 극복의 단초가 된다. 어떻게 관련 정보를 구성하고 국민들에게 전달하느냐에 따라 위험으로 인한 피해 규모가 규정되고 불안과 걱정의 크기가 결정되기도 한다. 

최근 성균관대 SSK위험커뮤니케이션연구단(단장 송해룡 교수, 이하 위험컴연구단)이 위험 정보 주체에 대한 평가를 위해 국내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의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한 결과, 시민들은 위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주체가 가져야 할 요소로 ‘신속성’보다는 ‘정확성’과 ‘신뢰성’을 중요하게 고려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수준 95.0%에서 표본오차 ±3.10%p). 

위험 관련 정보 전달 시, '정확성'과 '신뢰성' 가장 중시

위험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데 있어 정보주체(TV 등 전통적 언론기관, 정부기관, 지역공동체, 기업, 시민으로서의 개인, SNS 등)가 가져야 할 요소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정확성(5.42)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어 신뢰성(5.40), 신속성(5.35), 공정성(5.32), 이해 용이성(5.17) 순이었다. 

이번 조사연구를 기획한 위험컴연구단 김원제 공동연구원은 “그동안 우리 사회는 위험(사건·사고·재난) 발생 시 언론의 지나친 보도 경쟁과 SNS 등 각종 매체의 자극적 혹은 선정적 정보 생산으로 인해 위험에 대한 불안과 공포가 오히려 증폭되는 것을 목도해 왔다”며 “위험 정보를 다룰 때는 ‘흥미성’이나 ‘화제성’, ‘신속성’ 등의 가치와는 달리 ‘정보의 정확성’을 최우선 기준으로 해야 하며 이를 국민들이 이해하기 쉽고 비교적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위험 정보 주체의 요소별 중요도 / 자료=성균관대 SSK위험커뮤니케이션연구단

정보주체의 신뢰성, '개인'과 '시민단체'가 '정부기관'보다 훨씬 높아

정확성은 지역공동체(시민/소비자단체)(4.48), 시민으로서의 개인(4.45), TV 등 전통적 언론기관(4.35), SNS(4.28), 정부기관(3.72) 순이며 신뢰성은 시민으로서의 개인(4.49), 지역공동체(시민/소비자단체)(4.45), TV 등 전통적 언론기관(4.29), SNS(4.22), 기업(3.80), 정부기관(3.63) 순으로 나타났다. 

신속성은 SNS(5.03), TV 등 전통적 언론기관(4.64), 지역공동체(시민/소비자단체)(4.39), 기업(3.91), 정부기관(3.70) 순이었으며, 이해 용이성은 SNS(4.66)가 가장 높게 나타난데 이어 TV 등 전통적 언론기관(4.60), 시민으로서의 개인(4.54), 지역공동체(시민/소비자단체)(4.53), 기업(4.01), 정부기관(3.85) 순으로 평가되었다. 

공정성에서는 시민으로서의 개인(4.45), 지역공동체(시민/소비자단체)(4.43), TV 등 전통적 언론기관(4.25), SNS(4.21), 기업(3.76), 정부기관(3.64)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연구를 설계한 위험컴연구단 김찬원 공동연구원은 “시민으로서의 개인은 주변의 지인 등에 대한 신뢰성과 공정성에 대해서는 비교적 높게 평가하고 있는 반면 정부기관에 대해서는 신뢰성, 신속성, 이해 용이성, 공정성 등의 모든 평가 요소에서 보통(4점 이하)으로 낮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위험 발생 시, 정부기관 평가 낮을 경우 '루머 확산' 위험 높아

김 연구원은 이어 “위험 발생 시 이에 대한 경과와 향후 대책 등을 공식적으로 발표하는 정부기관에 대한 평가가 낮을 경우에 각종 루머가 생산, 확산될 수 있어 사회적 혼란과 불안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정 위험이나 사고 발생 시 각 기관의 발표에 대해서 신뢰할 수 있는 정도를 평가했을 때 지역공동체(시민/소비자단체) 발표(4.50)를 가장 신뢰하며 이어서 TV나 신문 등 언론보도(4.45), 시민 개개인의 정보(4.45), SNS 정보(4.38)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 발표(3.77), 정부기관의 발표(3.72)에 대해서는 보통(4.0) 이하로 평가되었다. 

연구 결과를 분석한 최현주 연구원은 “신뢰는 위험 관련 정책에 대한 지지나 수용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이기 때문에 정부에 대한 낮은 신뢰는 정부가 위험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수행해 나가는 데 있어 시간과 비용 증가는 물론 사회적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며 “우리 사회에서 보다 원활한 위험 정보의 소통을 위해서는 정부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