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공통감염병 위험 높다" 국내 오소리농장 실태 분석 논문, 국제학술지 게재
상태바
"인수공통감염병 위험 높다" 국내 오소리농장 실태 분석 논문, 국제학술지 게재
  • 정 현 기자
  • 승인 2023.05.12 10: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영국 런던대 및 서울대 연구진, 국제 공동연구 수행
- '국내 오소리 농장 실태에 대한 첫 공식적 연구' 평가
- 서울대 이항 교수 "인수공통감염병과 신종 감염병의 잠재적 진원지 역할 우려"
- 논문, 국제학술지 'Journal of Asia-Pacific Biodiversity' 게재
국내 오소리 농장의 오소리 / 사진=ⓒ영국 런던동물학회
국내 오소리 농장의 오소리 / 사진=ⓒ영국 런던동물학회

[위즈뉴스] 국내 오소리 농장 실태에 관한 최초의 공식적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에 발표됐다.

한국야생동물유전자은행은 8일, 영국 런던동물학회(ZSL)와 런던대(UCL), 서울대로 구성된 공동연구팀이 국내 오소리 유통이 미칠 잠재적 영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결과, 국내 시장에서 오소리 가공 상품의 종류는 지난 20년간 증가해 왔으나 국내 농장에서 사육되는 오소리와 야생에 사는 오소리 모두 적절한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국제학술지 '아시아태평양 생물다양성저널(Journal of Asia-Pacific Biodiversity)' 4월 3일자에 게재됐다.

논문명은 'A preliminary assessment of the wildlife trade in badgers (Meles leucurus and Arctonyx spp.) (Carnivora: Mustelidae) in South Korea'이며, 런던동물학회 및 런던대 조슈아 엘브스-파월(Joshua Elves-Powell) 연구원이 교신저자로, 한국야생동물유전자원은행 이항 대표(서울대 수의과대 명예교수) 등 연구진이 공동저자로 참여했다.

공동연구팀의 조슈아 엘브스-파월(Joshua Elves-Powell) 연구원은 “한국 오소리 농장은 야생 오소리에 대한 밀렵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된 측면이 일부 있는데, 장기적으로 볼 때 오히려 그 반대 효과가 있을 것으로 우려된다”고 말했다.

"오소리 농장 관행이 한국에서 인수공통감염병 위험 높여"

공동연구팀의 이항 대표는 “야생동물 농장에서 사육되는 동물들과 사람 사이에 질병 전파 사례가 많이 있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2020년 유럽 밍크 농장에서 코로나19가 발생된 사건으로, 밍크는 오소리와 같은 족제비과 동물”이라며 “과학자들은 오소리 농장 관행이 한국에서 인수공통감염병 위험성을 현저히 증가시킬 것으로 염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제학술지 'Journal of Asia-Pacific Biodiversity' 최근호에 게재된 해당 논문
doi.org/10.1016/j.japb.2023.03.004

오소리는 국내법에 따라 가축으로 지정돼 합법적으로 사육되고 있는 야생동물이지만, 오랫동안 당국 및 대중의 주의를 끌지 못해 왔다.

오소리는 국내에서 전통적으로 식재료 및 약제로 쓰여 왔다. 최근에는 오소리 오일을 이용한 화장품 등 새로운 상품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판매자들이 이들 상품을 토종 아시아오소리(Meles leucurus) 및 외래종 돼지코오소리(Arctonyx spp.) 부품을 가공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온라인 플랫폼 등 국내 시장에서 합법적으로 유통되고 있어 이들이 야생 오소리 개체군에 잠재적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판매상들은 이들 상품을 국내 합법 오소리 농장 또는 중국, 러시아 등 외국 야생 오소리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도 야생 오소리 밀렵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연구팀의 엘브스-파월 연구원은 “한국에서 아직도 야생 오소리 밀렵 사례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합법적 유통 경로가 이런 밀렵 제품을 합법화하는 세탁 통로 역할을 하거나 또는 야생 오소리를 잡아서 오소리 농장에서 번식시킨 것으로 위장할 위험성이 있다”며 “2001년 이후 전국적으로 오소리 농장 수가 감소한 통계 자료로 볼 때 오소리 사육이 사라지고 있다고 느낄 수도 있지만, 같은 기간에 어떤 지역에서는 농장에서 사육되는 오소리 수가 오히려 증가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엘브스-파월 연구원은 이어 “야생동물 거래에 관한 연구는 흔히 카리스마가 있는 대형 동물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어 다른 동물과 식물은 간과되기 쉽다”며 “여기서 핵심은 아시아오소리와 돼지코오소리 개체군에 관한 조사가 잘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야생 오소리 개체군에 대한 악영향이 있다는 것을 알아채기 쉽지 않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엘브스-파월 연구원은 또 “아시아오소리는 사회적이고 호기심 많은 동물로, 유럽오소리(Meles meles)와는 다른 동물이지만 땅굴을 파는 습성 등 두 종류의 오소리 사이에는 공통점이 많다”며 “우리는 아직도 이 동물들에 대해 잘 모르고 있고, 새로운 사실이 매년 밝혀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야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들은 한반도 산림에서 종자 산포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여겨진다”고 덧붙였다.

오소리 농장과 관련돼 우려되는 또 다른 문제점은 인수공통감염병의 종간 전파 위험성이다. 과학자들은 오소리 농장에 생물 보안 기준이 전혀 없다는 점에 주목한다.

논문은 또 국내 오소리 농장에 대한 동물복지 규제가 충분치 않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동물의 사육 환경이 열악하면 동물의 스트레스 정도가 높아지고, 이는 질병 발생 위험을 높인다. 야생 오소리는 땅굴집을 짓고 자신만의 영역을 갖는 동물이다. 그런데 오소리 농장주는 사육장 바닥을 그물 또는 콘크리트 바닥으로 만들어 오소리가 땅굴을 파는 자신의 자연적 습성을 나타내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며, 새끼를 어미에게서 떼어내 번식을 유도할 목적으로 암컷에게 호르몬을 주입하기도 한다.

엘브스-파월 연구원은 “한국 정부는 최근 모든 곰 농장을 2026년까지 폐쇄시키는 로드맵을 발표했다”며 “그러나 오소리 농장은 동물복지, 야생종 및 사람의 건강에 대한 위협 등 곰 농장과 거의 동일한 문제를 안고 있다”고 꼬집었다.

연구자들은 곰 농장처럼 오소리 농장도 점진적으로 전면 폐쇄하는 것을 정책 대안의 하나로서 제시했다. 다만 저자들은 오소리 농장 폐쇄 정책이 국내에서 오소리 거래 자체를 금지하는 것과 병행해야 야생 오소리에 대한 밀렵 증가를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엘브스-파월 연구원은 “우리는 한국 정부가 오소리 유통에 관한 포괄적인 계획을 시급히 마련할 것을 권고한다”며 “이 계획에는 동물의 건강과 복지뿐 아니라 사람의 건강에 대한 고려도 포함돼야 하고, 동시에 현재 오소리 유통 상황에 관한 정확한 조사도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