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적 지지' 받지 못하는 노인, 치매 발병 위험 더 높다
상태바
'정서적 지지' 받지 못하는 노인, 치매 발병 위험 더 높다
  • 정 현 기자
  • 승인 2023.01.03 01: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분당서울대병원 김기웅 교수 연구팀, 노인 5852명 대상 8년 간 추적 조사
- '정서적 지지' 받지 못하는 노인의 치매 발병 위험 높은 것으로 나타나
- 특히, '정서적 지지' 부족한 여성의 경우, 치매 발병 위험 61% 더 높아
- 논문, SCI급 국제학술지 'JAMA Network Open' 게재
사진출처=Pixabay

[헬쓰in논문] 주변 사람들로부터 공감과 이해, 보살핌 같은 정서적인 지지를 충분히 받지 못하는 노인들은 치매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는 국내 연구진의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분당서울대병원은 지난달 12일, 정신건강의학과 김기웅 교수 연구팀이 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 오대종 교수 연구팀과 함께 국내 60세 이상 노인 5,852명을 8년 동안 추적-관찰함으로써 이같은 사실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초고령사회 진입과 치매 환자의 폭발적 증가를 목전에 둔 한국 사회에서, 독거노인 등 사회적으로 고립된 노인들을 대상으로 물질적 지원뿐 아니라 적절한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고, 정기적 인지기능 평가를 실시하기 위한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이번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미국의학협회에서 발행하는 의생명 분야의 SCI급 저명 국제학술지 ' JAMA Network Open(IF=13.353)' 최근호에 게재됐다.

논문명은  ‘Association of Low Emotional and Tangible Support With Risk of Dementia Among Adults 60 Years and Older in South Korea’이다.

"고위험 노인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정서적 지지 제공 필요"

연구를 주도한 김기웅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에서 그 중요성이 밝혀진 정서적 지지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는데, 특히 정서적 공감을 바탕으로 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표준화, 효과 검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지역사회 및 국가 단위의 치매 예방 전략 수립 시에는 사회적으로 고립된 고위험 노인을 대상으로 가족이나 혹은 유관기관에 종사하는 이른바 사회적 가족들이 정서적 지지를 체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국제학술지 'JAMA Network Open' 최근호에 게재된 해당 논문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는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주변 사람들로부터 공감과 이해 등 감정적 지원을 받는 ‘정서적 지지’이며, 다른 하나는 가사, 식사, 진료, 거동 등에 실질적인 도움을 받는 ‘물질적 지지’이다.

연구팀은 국내 60세 이상 노인 5,852명을 8년 동안 추적관찰하며 정서적 지지와 물질적 지지가 각각 치매 발병 위험을 높이는지 분석했다.

연구 결과, 물질적 지지는 치매 발병률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지 않았지만 정서적 지지는 차이를 낳았다. 충분한 정서적 지지를 받는 노인의 치매 발병률이 매년 1,000명당 9명에 그친 것에 반해, 정서적 지지를 받지 못하는 노인의 경우 발병률이 연 1,000명당 15.1명으로 높게 나타난 것이다.

정서적 지지와 치매 발병 위험의 연관성은 특히 여성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정서적 지지를 받지 못하는 여성은 치매 발병 위험이 61% 높았고, 치매 중 가장 흔하다고 알려진 알츠하이머병 발병 위험도 66%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정서적 지지 정도에 따른 치매 및 알츠하이머병 발병률. [1,000인년(person-years) 기준]

그간 노인들의 사회적 고립이 치매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는 보고는 꾸준히 있었으나, 이를 해소하기 위해 어떤 사회적 지지를 제공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

이번 연구는 물질적 형태의 도움보다 정서적인 공감과 이해가 치매 발병 위험과 연관성이 있음을 밝힌 최초의 연구로, 치매 예방에 있어 겉으로 드러나는 사회적 활동의 양보다, 사회적 활동의 질이 중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