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로 일산화탄소 손쉽게 만드는 값싼 주석 촉매 개발" UNIST-KAIST 공동연구팀 논문, SCI급 국제학술지 등재
상태바
"온실가스로 일산화탄소 손쉽게 만드는 값싼 주석 촉매 개발" UNIST-KAIST 공동연구팀 논문, SCI급 국제학술지 등재
  • 정 현 기자
  • 승인 2020.09.24 23: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제학술지 ‘ACS Energy Letters’ 9월 11일자 속표지논문(inside cover) 선정 및 게재
ACS Energy Letters 속표지. 주석이 결합된 탄소나노튜브 (Sn-CHF) 전극에서 주석 촉매가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로 변환하는 과정 모식도. 육각형 벌집 모양 원통이 탄소나노튜브이다. 주황색 덩어리는 나노미터 크기의 주석 입자다. 주석 입자에 이산화탄소가 달라붙은 모습을 형상화 했다. / 자료이미지=UNIST
ACS Energy Letters 속표지. 주석이 결합된 탄소나노튜브 (Sn-CHF) 전극에서 주석 촉매가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로 변환하는 과정 모식도. 육각형 벌집 모양 원통이 탄소나노튜브이다. 주황색 덩어리는 나노미터 크기의 주석 입자다. 주석 입자에 이산화탄소가 달라붙은 모습을 형상화 했다. / 자료이미지=UNIST

[위즈뉴스] 지구 온난화를 일으키는 이산화탄소(CO2)를 일산화탄소(CO)로 바꾸는 주석 (Sn) 촉매가 개발됐다.

이는 주석 촉매가 일산화탄소 생산에 불리하다는 50년 넘는 중론을 뒤집은 것이다. 이번 연구는 연료, 플라스틱, 세제 및 접착제 제조 등에 폭넓게 쓰이는 일산화탄소를 값싸고 효율적으로 생산할 방법으로 기대된다.  

UNIST(총장 이용훈)는 20일, 에너지화학공학과의 권영국 교수팀과 KAIST(총장 신성철) 강석태·김형준 교수팀으로 구성된 공동연구팀이 저렴한 주석과 탄소 지지체 기반의 ‘일체형’ 촉매(전극)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촉매는 일산화탄소만 골라서 만들 수 있는 반응선택성이 매우 높아 일산화탄소 생산 효율이 기존 주석 촉매의 100배 이상이다. 또 전기장을 활용해 반응 선택성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 학술적으로도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왼쪽부터 KAIST 강석태 교수, UNIST 권영국 교수, KAIST 김형준 교수 / 사진=UNIST제공

이번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재료공학 및 전기화학 분야의 SCI급 저명 국제학술지 ‘ACS Energy Letters(IF=14.61)’ 9월 11일자 속표지논문(inside cover)으로 선정되어 게재됐다

논문명은 'Electric field mediated selectivity switching of electrochemical CO2 reduction from formate to CO on carbon supported Sn'이다.

주석(Sn)은 일산화탄소를 생산하는 금, 은 기반 촉매보다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주석을 이산화탄소 변환 반응에 쓰면 일산화탄소보다 포름산(formic acid)이 더 많이 생긴다. 일산화탄소를 만드는 반응 선택성이 높지 않은 것이다. 중공사(Hollow Fiber)란 가운데가 빨대처럼 비어 있는 구조를 말한다. 

공동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탄소나노튜브를 함께 써 주석으로 일산화탄소만 골라 만들 수 있는 촉매를 개발했다.

그림1. 중공사 전극일체형 촉매의 이미지 (A) 촉매(전극) 가닥 (B) 촉매의 확대 이미지. 가운데가 뚫려 있는 구조라 반응물인 이산화탄소가 원활히 통과 할 수 있다. (C) 머리카락 같이 보이는 탄소나노튜브에 주석 나노입자(흰색)가 흡착돼 있다. 

그림1. 중공사 전극일체형 촉매의 이미지 (A) 촉매(전극) 가닥 (B) 촉매의 확대 이미지 / 자료이미지=UNIST
그림1. 중공사 전극일체형 촉매의 이미지 (A) 촉매(전극) 가닥 (B) 촉매의 확대 이미지 / 자료이미지=UNIST

나노(nm, 10-9) 미터 크기의 주석 입자가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붙으면 전기장의 변화로 일산화탄소가 생기는 반응이 촉진된다. 탄노나노튜브는 탄소 원자가 6각형 벌집 구조를 이루는 그래핀이 원통 형태로 말린 구조를 갖는 물질로서, 전자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전기전도도가 매우 우수하다. 

주석 입자 주변의 전기장 변화로 반응물인 이산화탄소가 주석 입자 표면에 더 잘 달라붙기 때문이다. 반면 포름산을 만드는 반응은 탄소나노튜브가 유발하는 전기장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포름산 생성 반응과 일산화탄소 생성 반응은 경쟁관계에 있기 때문에, 개발된 촉매를 쓰면 일산화탄소는 많이 만들고 포름산 생성은 억제 할 수 있다. 

권영국 교수는 “주석 촉매는 포름산 생성을 촉진 한다는 것이 50년 이상 된 중론이었는데, 전극 전기장을 조절해 이러한 상식을 뒤집었다”며 “이산화탄소 변환 반응 촉매 디자인에 전기장을 어떻게 활용 할 수 있는지를 최초로 증명한 연구라 뜻깊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번에 개발된 지지체 일체형 촉매는 마치 도자기를 만들 듯 굽는 방식  방식으로 쉽게 제조할 수 있다.

그림2. 중공사 전극일체형 촉매의 제작 과정. 주석이 흡착된 탄소나노튜브 가루와 고분자 바인더, 유기용매가 혼합된 졸(Sol) 상태 용액(A)을 습식방사(B) 시켜 중공사 형태로 만든 뒤 도자기처럼 굽는다(C, 소결). 

그림2. 중공사 전극일체형 촉매의 제작 과정 / 자료이미지=UNIST
그림2. 중공사 전극일체형 촉매의 제작 과정 / 자료이미지=UNIST

탄소나노튜브, 주석 나노입자, 고분자로 이뤄진 반액체 상태(Sol, 졸) 혼합물을 가운데가 빈 원통(중공사 구조) 형태의 전극으로 만든 뒤 이를 고온에서 굳히는(소결)방식이다. 가운데가 뚫려 있는 구조라 반응물인 이산화탄소 기체의 확산이 원활하다는 장점도 있다. 또, 주석입자와 지지체인 탄소나노튜브가 소결 반응으로 단단히 결합돼있어 주석이 전극 표면에서 벗겨지는 문제도 해결했다.   

한편, 연구팀은 이론계산을 통해 주석 기반 촉매에서 개미산이 아닌 일산화탄소가 생성되는 원리를 규명했다. 계산에 따르면 탄소나노튜브가 주석 표면의 전자밀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밀도가 높아져 이산화탄소가 주석 표면에 잘 흡착할 수 있는 조건이 되는 것이다. 또한 주석 표면에 형성된 전기장은 흡착된 이산화탄소가 전환되어 일산화탄소가 생성되는 반응을 촉진하지만, 전기장에 민감하지 않은 포름산의 생성은 억제된다.

이번 연구는 차세대탄소자원화연구단 (NCUP)과 미래소재디스커버리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