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 땀, 눈물로 혈당 측정 가능한 압전센서 개발" 성균관대 김진웅 교수팀 논문, SCI급 저명 국제학술지 등재
상태바
"침, 땀, 눈물로 혈당 측정 가능한 압전센서 개발" 성균관대 김진웅 교수팀 논문, SCI급 저명 국제학술지 등재
  • 정 현 기자
  • 승인 2020.09.06 21: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제학술지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8월 26일자 표지논문 선정
국제학술지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8월호 표지 / 사진=한국연구재단

[위즈뉴스] 혈당측정을 위한 채혈의 불편함을 해소할 실마리가 나왔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3일, 성균관대 김진웅 교수 연구팀과 포항공대 정운룡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타액, 땀, 눈물 등 체액으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고감도·고선택성 글루코스 압전 센서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SCI급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서녈 머터리얼즈(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IF=16.836)’ 8월 26일자에 게재됐으며, 표지논문으로도 선정됐다.

논문명은 'Two-Dimensional Colloidal Array of Glucose-Conjugative Conductive Micro particles for a Pressure-Mediated Chemiresistive Sensor Platform'이다.

당뇨인구 증가에 따라 자가 혈당측정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알코올로 소독 후 채혈하는 침습적인 접근 대신 땀이나 눈물과 같은 체액에서 직접 혈당을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되었다. 

하지만 침이나 땀 같은 체액 속 글루코스 농도(50~200μM)는 혈액 속 글루코스 농도(5~20mM)에 비해 100배 이상 낮기 때문에 100배 이상의 감도를 갖는 센서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연구팀은 은 나노와이어가 코팅된 전도성 마이크로입자를 제조한 후, 은 나노와이어에 다른 단당류가 아닌 글루코스와만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보론산을 배열했다. 글루코스가 보론산과 결합하면 은 나노와이어들이 서로 연결되는 데 글루코스가 많을수록 은 나노와이어들의 연결도 많아져 순간적으로 전류가 증가하는 것을 압전기술을 이용해 정밀하게 검출했다.    

글루코스 측정 메커니즘 및 센서 작동 모식도 / 자료이미지=한국연구재단
글루코스 측정 메커니즘 및 센서 작동 모식도 / 자료이미지=한국연구재단

기존 혈당 측정기는 효소를 통해 글루코스 분자의 산화를 유도하고, 글루코스 산화 시 나타나는 전기화학적 변화에 따른 전류변화를 이용해 농도를 측정한다. 측정가능한 농도범위는 2~20 mM 수준이다. 

하지만 전도성 입자 기반 압전센서는 글루코스 분자와 결합할 수 있는 표면적이 증가해 0.56μM~56 mM의 넓은 범위의 글루코스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결국 혈액(5~20 mM)과 체액(50~200 μM)의 글루코스 농도 범위를 모두 포함하기에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체액에서 혈당측정이 가능해진다. 

글루코스 측정 민감도 및 정확도 테스트 / 자료이미지=한국연구재단
글루코스 측정 민감도 및 정확도 테스트 / 자료이미지=한국연구재단

특히, 0.60.6(cm2)의 크기 디바이스로 구현할 수 있고 100 마이크로리터 수준의 적은 체액으로도 글루코스 검출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센서는 양산화할 수 있는 기성의 부품을 이용해 제작했다. 또, 은 나노와이어 표면에 어떤 물질을 배열하느냐에 따라 글루코스 이외 다른 호르몬이나 단백질 같은 생체분자의 농도측정에도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진웅 교수 / 사진=한국연구재단
김진웅 교수 / 사진=한국연구재단

연구팀의 김진웅 교수는 "기존의 혈당 모니터링에서는 혈액 채취가 필수적이어서 불편했지만, 최근에 연구되는 비침습형 디바이스는 검출한계가 낮아 땀이나 눈물, 침 등에 적용하기 쉽지 않았다"면서 "이번 연구에서 개발한 글루코스 센서는 넓은 측정범위에서 소량의 땀이나 눈물, 침으로도 글루코스 농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실용화와 관련해서 "스마트워치 같은 멀티 디바이스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현재 구현된 크기보다 소형화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지원 사업으로 수행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