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강하고 더 다루기 쉬운 고엔트로피 합금 설계" 포항공대 김형섭 교수팀 논문, SCI급 국제학술지 등재
상태바
"더 강하고 더 다루기 쉬운 고엔트로피 합금 설계" 포항공대 김형섭 교수팀 논문, SCI급 국제학술지 등재
  • 정 현 기자
  • 승인 2020.06.02 21: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속공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Acta Materialia' 4월 12일자 게재
헤테로구조 고엔트로피 합금 설계 전략 및 헤테로구조로 인한 계면 강화 / 자료이미지=한국연구재단
헤테로구조 고엔트로피 합금 설계 전략 및 헤테로구조로 인한 계면 강화 / 자료이미지=한국연구재단

[위즈뉴스] 더 강하면서 잘 늘어나는 합금을 향한 산업현장의 끝없는 고민에 답이 될 수 있을까. 합금계의 이단아, 고엔트로피 합금을 만드는 새로운 설계방식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1일, 포항공과대학교 신소재학과 김형섭 교수 연구팀이 고강도·고연성·고가공성의 고엔트로피 합금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금속공학 분야 SCI급 국제학술지인 ‘Acta Materialia’ 4월 12일자에, ‘Scripta Materialia(IF=4.740)’ 온라인 5월 21일자에 각각 게재되었다.

논문 제목은 'A new strategy for designing immiscible medium-entropy alloys with excellent tensile properties'이다. 

헤테로구조 고엔트로피 합금의 금속 절삭 가공 시제품 및 가격 경쟁력 / 자료이미지=한국연구재단
헤테로구조 고엔트로피 합금의 금속 절삭 가공 시제품 및 가격 경쟁력 / 자료이미지=한국연구재단

고엔트로피 합금은 주된 금속에 보조원소를 더하는 일반적 합금과 달리, 주된 원소 없이 여러 원소를 비교적 동등한 비율로 혼합하는 방식이어서 이론상 만들 수 있는 합금의 종류가 무한대다. 

하지만 대부분 균일한 단상 형태로 만들어지며, 단상을 유지하는데 코발트, 크롬 같은 고가의 원소를 첨가하는 등 가격경쟁력에서 한계가 있었다. 단상 형태란 구조, 조직, 결정립 크기 및 형상이 동일한 형태를 말한다.  

이에 연구팀은 고엔트로피 합금은 균일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역이용했다. 미세조직이 균질하지 않은 헤테로구조의 고엔트로피 합금이 더 단단하고 더 연할 수 있음을 알아냈기 때문이다. 

헤테로 구조란 합금 내부의 구조, 조직이나 결정립 크기 및 형상이 동일하지 않고, 위치별로 다른 구조를 말한다. 

실제 물과 기름처럼 서로 섞이지 않는 철과 구리를 기반으로 각각 분리된 두 영역을 형성시킨 후, 둘 다와 섞일 수 있는 몇몇 원소들을 첨가함으로써 비균질성(heterogeneity)을 극대화해, 전체 소재의 엔트로피를 높였다.

이렇게 설계된 헤테로구조의 고엔트로피 합금은 강한 구리와 연한 철로 구성되는데, 연한 철은 소재의 연성, 강한 구리는 소재의 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기존 스테인리스 강 보다 1.5배 더 단단한(인장강도 ~ 1 GPa) 것으로 나타났다. 

또, 철과 구리, 이원화된 구조로 인해 소재를 절삭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역시 기존 304 스테인리스 강보다 20배 줄었다. 절삭시간 단축은 소재의 가공비용 절감으로 이어진다. 

경제적인 철과 구리에, 알루미늄이나 망간 같은 저가의 원소를 조합할 경우 기존 고엔트로피 합금보다 3~10배 높은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단상에 국한된 기존 고엔트로피 합금을 다상으로 확장시킴으로써 산업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고엔트로피 합금 창출을 앞당길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김형섭 교수 / 사진=한국연구재단
김형섭 교수 / 사진=한국연구재단

연구팀의 김형섭 교수는 "이번 연구의 헤테로 구조 고엔트로피 합금은 상용화되어 있는 철강소재에 버금가는 가격 경쟁력을 가질 뿐만 아니라 높은 기계적 특성과 가공(절삭) 특성을 가지고 있어 실용화의 가능성이 매우 높다"면서 "앞으로 실용화를 위해서는 합금 제조의 대형화, 실용처의 추가적인 요구 특성을 만족시키는 것이 관건이고 산업체와의 공동연구를 통하여 하나씩 해결해 나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미래소재디스커버리 사업 등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