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에 붙이는 OLED로 피부 콜라겐 합성" 국내 연구진 논문, SCI급 국제학술지 등재
상태바
"피부에 붙이는 OLED로 피부 콜라겐 합성" 국내 연구진 논문, SCI급 국제학술지 등재
  • 정 현 기자
  • 승인 2019.12.28 00: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제학술지 ‘빛 : 과학과 응용(Light: Science & Applications)’ 12월 9일자 게재
다양한 프리폼 OLED 구현 및 사람의 인공피부모델에서 피부 재생 효과 / 자료이미지=한국연구재단
다양한 프리폼 OLED 구현 및 사람의 인공피부모델에서 피부 재생 효과 / 자료이미지=한국연구재단

[헬쓰in논문] 한국연구재단은 지난 18일, KAIST 최경철 교수와  분당서울대병원 박경찬 교수 공동연구팀이 소재나 형태에 무관하게 다양한 표면에 부착할 수 있는 프리폼 OLED를 개발하고, 인공피부모델과 동물모델에 직접 부착할 수 있는 OLED 광원에 의한 콜라겐 합성 및 피부재생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프리폼(Free-form) OLED(유기발광다이오드)란 특정 소재와 형태에 제한없이 만들 수 있는 OLED로, 자발광 특성으로 얇고 유연한 디스플레이로 제작할 수 있다.

 이번 연구로 주로 디스플레이나 조명으로 응용되던 플렉서블 OLED를 웨어러블 헬스 케어 기기로 응용할 수 있는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 성과를 담은 논문은 SCI급 국제학술지로 네이처(Nature) 자매지인 ‘빛 : 과학과 응용(Light: Science & Applications, IF=14.098)’ 12월 9일자에 게재됐다. 논문 제목은 'Sandwich-structure Transferable Free-form OLEDs for Wearable and Disposable Skin Wound Photomedicine'이다. 

빛이 체내 생화학 반응을 촉진시키는 원리를 이용하는 비외과적 접근인 광치료(photomedicine)는 상처치유, 주름개선 등 피부개선 및 피부미용 측면에서 특히 많이 주목받는다. 

하지만 주로 활용되는 점광원의 LED와 레이저 기기는 빛을 균일하게 조사하기 어렵고, 발열문제가 있어 피부 밀착에 한계를 보이며 병원 등에서 주로 설치형 광원으로 광치료에 활용된다.

쥐 피부 상처에 프리폼 OLED를 부착하였을 경우 피부 재생 효과 / 자료이미지=한국연구재단
쥐 피부 상처에 프리폼 OLED를 부착하였을 경우 피부 재생 효과 / 자료이미지=한국연구재단

연구팀은 부착할 수 있는 4.8마이크로미터(㎛)의 박막 층 사이에 OLED를 넣는 샌드위치 구조의 면광원을 디자인하여 소재와 형태의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프리폼 OLED를 제작했다. 

프리폼 OLED는 두께 10마이크로미터(㎛)로 아주 얇아 피부, 옷, 종이, 과일 등 다양한 소재는 물론 원통형 같은 다양한 형태의 표면에 부착하는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실제 옷감에 적용된 프리폼 OLED는 350마이크로미터(㎛) 굴곡의 1000회 반복된  접힘(folding)에도 정상적으로 구동했으며, 물세탁 후에도 구동 수명이 100시간을 넘어 옷과 모자와 같은 일상생활 소재와 접목해도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함을 확인했다. 

실제 쥐의 피부상처에 프리폼 OLED를 부착하여 빛을 쬐어주고 8일 후 상처치유를 돕는 각질형성세포의 재생(21%) 및 피부영역확장(15%) 등의 효과를 관찰했다.  

3D 인공피부모델을 통해 확인한 표피두께 향상(39%)과 콜라겐 생성 증진 등의 피부재생 효과가 실제 동물모델에서 재현된 것이다. 

지난해 연구팀이 개발한 상처치유에 효과적인 ‘OLED 반창고’를 토대로 옷이나 피부 형태의 패치와 같이 소재와 형태에 구애받지 않는 다양한 웨어러블 형태로 응용하도록 개발됐으며, 인공피부와 동물모델까지 확대하여 콜라겐 합성 및 피부재생 효과를 확인했다.

박경찬 교수(왼쪽)와 최경철 교수 / 사진=한국연구재단
박경찬 교수(왼쪽)와 최경철 교수 / 사진=한국연구재단

연구팀은 "이번 연구로 웨어러블/인체부착형 광 치료 제품 실용화에 매우 근접할 수 있는 성과를 이루게 되었다"면서 "프리폼 OLED가 실용화된다면, 간단히 피부, 마스크팩, 옷 등에 부착하여 일상생활을 하며 상처치유, 피부미용 등을 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또 "광 치료 분야는 단순히 피부미용 뿐만 아니라 모자나 안경에 부착하여 시각자극을 통한 우울증, 불면증, 치매 등에 다양한 효과를 위해 응용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선도연구센터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